세종대 연구자를 소개합니다.
성명 | 서영수 | ||||
학과 | 나노신소재공학과 | ||||
연구분야 | 1. Cellulose nanofibil (CNF) : Surface modifications, Dispersion, Polymer composite 2. Quamtum dot encapsulation : Polymeric and Silica encapsulation for QD display and Bio-sensor 3. Nanotubes and graphene oxide : CNT and BNNT dispersion for thermal dissipating materials etc 4. Gas separation membrane | ||||
연구실 |
![]() ![]() |
||||
관련지재권 정보 | 발명의 명칭 | 출원 번호 | 등록 번호 | ||
셀룰로오스 나노섬유를 함유하는 고분자 복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 | 10-2021-0109514 | 10-2769894 |
![]() |
||
무기 나노필러, 이를 포함하는 에나멜 와이어, 및 상기 에나멜 와이어의 제조방법 | 10-2012-0086828 | 10-1391235 |
![]() |
||
마이크로 캡슐형 양자점- 고분자 복합체, 상기 복합체의 제조 방법, 상기 복합체를 포함하는 발광다이오드 패키지, 및 상기 발광다이오드 패키지의 제조방법 | 10-2013-0016841 | 10-1319728 |
![]() |
||
무기물질로 패시베이션된 마이크로 캡슐형 양자점- 고분자 복합체, 상기 복합체의 제조 방법, 상기 복합체를 포함하는 광학요소, 및 상기 광학요소의 제조방법 | 10-2013-0016859 | 10-1500829 |
![]() |
||
양자점과 폴리올레핀을 함유하는 양자점-고분자 복합체, 상기 복합체의 제조 방법, 상기 복합체를 포함하는 광학요소, 및 상기 광학요소의 제조방법 | 10-2015-0080047 | 10-1627464 |
![]() |
||
고분자 마이크로 입자 및 이의 제조방법 | 10-2015-0080129 | 10-1790676 |
![]() |
||
마이크로 캡슐형 양자점-고분자 복합체를 포함하는 광학요소, 및 상기 광학요소의 제조방법 | 10-2013-0016864 | 10-1574842 |
![]() |
||
내열성이 향상된 마이크로 캡슐형 양자점- 고분자 복합체, 상기 복합체의 제조 방법, 상기 복합체를 포함하는 광학요소, 및 상기 광학요소의 제조방법 | 10-2013-0028174 | 10-1574845 |
![]() |
||
고분자 마이크로 입자를 포함하는 광학요소 및 이의 제조방법 | 10-2013-0028213 | 10-1584852 |
![]() |
||
그래핀-나노입자 복합체, 복합체의 용도, 및 복합체의 제조방법 | 10-2013-0094425 | 10-1496021 |
![]() |
||
양자점-무기입자 응집체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요소 | 10-2014-0113495 | 10-1683343 |
![]() |
||
자성나노입자-고분자 복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 | 10-2014-0120423 | 10-1768278 |
![]() |
||
투습 경로를 갖는 발수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제습 장치 | 10-2016-0134095 | 10-1736012 |
![]() |
||
투습 경로를 갖는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| 10-2017-0174533 | 10-2063892 | |||
폴리디메틸실록산-폴리아미드이미드계 트리블록 공중합체를 이용한 마이크로/나노 융복합소재 및 이의 제조방법 | 10-2015-0130469 | 10-2265982 | |||
나노 셀룰로오스 복합체,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여 제조된 이차전지용 분리막 | 10-2018-0122534 | 10-2293299 |
![]() |
||
표면 상에 생체적합용 무기물을 구비하는 셀룰로오스 나노섬유 및 이를 구비하는 고분자 복합체 | 10-2019-0127640 | 10-2313444 |
![]() |
||
나노 셀룰로오스 복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 | 10-2020-0038611 | 10-2230457 |
![]() |
||
표면 개질된 질화붕소, 상기 입자가 분산된 조성물, 및 상기 조성물로 코팅된 와이어 | 10-2015-0130543 | 10-2262025 |
![]() |
||
투습성 멤브레인 및 이의 제조방법 | 10-2019-0013276 | 10-2155272 | |||
나노 셀룰로오스 복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 | 10-2018-0038601 | 10-2107801 |
![]() |
||
금속 산화물층을 구비하는 나노 셀룰로오스 복합체 및이의 제조방법 | 10-2018-0014060 | 10-2082456 |
![]() |
성명 | 학과 |
---|---|
서영수 | 나노신소재공학과 |
연구분야 | |
1. Cellulose nanofibil (CNF) : Surface modifications, Dispersion, Polymer composite 2. Quamtum dot encapsulation : Polymeric and Silica encapsulation for QD display and Bio-sensor 3. Nanotubes and graphene oxide : CNT and BNNT dispersion for thermal dissipating materials etc 4. Gas separation membrane | |
관련지재권 정보 | |
발명의 명칭 |
등록번호
특허공보
|
셀룰로오스 나노섬유를 함유하는 고분자 복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 |
10-2769894
|
무기 나노필러, 이를 포함하는 에나멜 와이어, 및 상기 에나멜 와이어의 제조방법 |
10-1391235
|
마이크로 캡슐형 양자점- 고분자 복합체, 상기 복합체의 제조 방법, 상기 복합체를 포함하는 발광다이오드 패키지, 및 상기 발광다이오드 패키지의 제조방법 |
10-1319728
|
무기물질로 패시베이션된 마이크로 캡슐형 양자점- 고분자 복합체, 상기 복합체의 제조 방법, 상기 복합체를 포함하는 광학요소, 및 상기 광학요소의 제조방법 |
10-1500829
|
양자점과 폴리올레핀을 함유하는 양자점-고분자 복합체, 상기 복합체의 제조 방법, 상기 복합체를 포함하는 광학요소, 및 상기 광학요소의 제조방법 |
10-1627464
|
고분자 마이크로 입자 및 이의 제조방법 |
10-1790676
|
마이크로 캡슐형 양자점-고분자 복합체를 포함하는 광학요소, 및 상기 광학요소의 제조방법 |
10-1574842
|
내열성이 향상된 마이크로 캡슐형 양자점- 고분자 복합체, 상기 복합체의 제조 방법, 상기 복합체를 포함하는 광학요소, 및 상기 광학요소의 제조방법 |
10-1574845
|
고분자 마이크로 입자를 포함하는 광학요소 및 이의 제조방법 |
10-1584852
|
그래핀-나노입자 복합체, 복합체의 용도, 및 복합체의 제조방법 |
10-1496021
|
양자점-무기입자 응집체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요소 |
10-1683343
|
자성나노입자-고분자 복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 |
10-1768278
|
투습 경로를 갖는 발수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제습 장치 |
10-1736012
|
투습 경로를 갖는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|
10-2063892
|
폴리디메틸실록산-폴리아미드이미드계 트리블록 공중합체를 이용한 마이크로/나노 융복합소재 및 이의 제조방법 |
10-2265982
|
나노 셀룰로오스 복합체,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여 제조된 이차전지용 분리막 |
10-2293299
|
표면 상에 생체적합용 무기물을 구비하는 셀룰로오스 나노섬유 및 이를 구비하는 고분자 복합체 |
10-2313444
|
나노 셀룰로오스 복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 |
10-2230457
|
표면 개질된 질화붕소, 상기 입자가 분산된 조성물, 및 상기 조성물로 코팅된 와이어 |
10-2262025
|
투습성 멤브레인 및 이의 제조방법 |
10-2155272
|
나노 셀룰로오스 복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 |
10-2107801
|
금속 산화물층을 구비하는 나노 셀룰로오스 복합체 및이의 제조방법 |
10-2082456
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