각 분야별 기술을 자세히 소개해드립니다.
기술명 | 가상 캐시를 포함하는 메모리 및 그 관리 방법 | |||
기술요약 |
▷ 본 기술은 프로세서의 캐시 메모리에 대한 전원이 차단되는 저전력 모드에서 정상 모드로 복귀하는 경우 발생하는 캐시 미스(cache miss)로 인한 성능 저하 및 전력 낭비를 방지할 수 있는 기술임.
▷ 저전력 모드로 진입할 경우, 캐시 메모리(110)의 데이터가 주메모리(200)의 가상 캐시 공간(210)으로 이동하여 저장되며, 캐시 데이터가 복구될 경우 가상 캐시 공간(210)의 데이터가 일괄적으로 캐시 메모리(110)로 이동됨. ▷ 주메모리(200)는 휘발성 메모리(202)와 비휘발성 메모리(204)로 구성될 수 있으며, 휘발성 메모리에는 휘발성 가상 캐시 공간(212), 비휘발성 메모리에는 비휘발성 가상 캐시 공간(214)이 할당될 수 있음. |
|||
기술분야 | 6T | 대분류 | 적용분야 | |
IT | 정보통신 | 메모리 |
![]() |
|
발명자 | 성명 | 소속학과 | 대표연구분야 | 연구실 |
박기호 | 컴퓨터공학과 | 컴퓨터 구조, 저전력 시스템 구조 설계, 임베디드 시스템, 사물인터넷, SoC 구조 설계, AI/응용특화 가속기 설계 |
![]() ![]() |
|
관련지재권 정보 | 발명의 명칭 | 출원번호 | 등록번호 | |
가상 캐시를 포함하는 메모리 및 그 관리 방법 | 10-2013-0075581 | 10-1864831 |
![]() |
기술명 | |
---|---|
가상 캐시를 포함하는 메모리 및 그 관리 방법 | |
기술요약 | |
▷ 본 기술은 프로세서의 캐시 메모리에 대한 전원이 차단되는 저전력 모드에서 정상 모드로 복귀하는 경우 발생하는 캐시 미스(cache miss)로 인한 성능 저하 및 전력 낭비를 방지할 수 있는 기술임.
▷ 저전력 모드로 진입할 경우, 캐시 메모리(110)의 데이터가 주메모리(200)의 가상 캐시 공간(210)으로 이동하여 저장되며, 캐시 데이터가 복구될 경우 가상 캐시 공간(210)의 데이터가 일괄적으로 캐시 메모리(110)로 이동됨. ▷ 주메모리(200)는 휘발성 메모리(202)와 비휘발성 메모리(204)로 구성될 수 있으며, 휘발성 메모리에는 휘발성 가상 캐시 공간(212), 비휘발성 메모리에는 비휘발성 가상 캐시 공간(214)이 할당될 수 있음. |
|
기술분야 | |
6T | 대분류 |
IT | 정보통신 |
중분류 | 소분류 |
메모리 |
![]() |
발명자 | |
성명 | 소속학과 |
박기호 | 컴퓨터공학과 |
대표연구분야 | 연구실 |
컴퓨터 구조, 저전력 시스템 구조 설계, 임베디드 시스템, 사물인터넷, SoC 구조 설계, AI/응용특화 가속기 설계 |
![]() ![]() |
관련지재권 정보 | |
발명의 명칭
등록번호
|
출원번호
특허공보
|
가상 캐시를 포함하는 메모리 및 그 관리 방법
10-1864831
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