기술이전센터에서 보유하고 있는 지재권을 자세히 소개해드립니다
기술명 |
리튬 이차전지용 양극 활물질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|
![]() |
||
권리구분 | 특허 | |||
출원인 | 세종대 산학협력단 | |||
대표발명자 | 이름 | 소속학과 | 연구실 | |
명승택 | 나노신소재공학과 |
![]() ![]() |
||
대표연구분야 | 리튬이온이차전지 | |||
출원번호 | 10-2017-0080790 | 등록번호 | 10-2063898 | |
출원일 | 2017-06-26 | 등록일 | 2020-01-02 | |
특허원문 |
리튬 이차전지용 양극 활물질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를 제공한다. 상기 양극 활물질은 리튬-전이금속 산화물 입자와 상기 리튬-전이금속 산화물 입자의 표면 상에 위치하는 탄산리튬을 구비한다. 상기 리튬-전이금속 산화물은 Li1+x(Ni1-y-zCoyMnzMea)1-xO2(-0.2≤x≤0.2, 0.01≤y≤0.5, 0.01≤z≤0.5, 0
|
| ||
상세기술정보 5 | 기술명 | 기술요약 | ||
마그네슘염 수용액으로 세척한 리튬-전이금속산화물 | 리튬 전이금속산화물 입자를 마그네슘염 (ex. Mg(NO3)2·6H2O) 이 용해된 수용액과 반응시켜, 리튬 전이금속산화물 입자 표면 상에 탄산마그네슘을 형성하여, 상기 활물질 표면 잔류물들을 제거함으로써, 이차전지의 전기화학적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 |
![]() |
||
관련동영상 | ||||
Mg 수용액으로표면처리된 리튬-전이금속산화물 | ▷리튬이차전지의 양극재료에 관한 것으로, 리튬-전이금속산화물의 표면을 Mg 수용액으로 처리하여 표면 상의 잔류리튬화합물을 저감시키는 기술을 제공함 |
![]() |
||
관련동영상 | ||||
기술분류(대) | 재료 | 기술분야 | 재료·화학 | |
적용분야 | 리튬 이차전지의 양극활물질 |
기술명 | |
---|---|
리튬 이차전지용 양극 활물질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|
|
권리구분 | 출원인 |
특허 | 세종대 산학협력단 |
대표발명자 | |
이름 | 소속학과 |
명승택
![]() |
나노신소재공학과 |
대표연구분야 | |
리튬이온이차전지 | |
출원번호 | 등록번호 |
10-2017-0080790 | 10-2063898 |
출원일 | 등록일 |
2017-06-26 | 2020-01-02 |
특허원문 | |
리튬 이차전지용 양극 활물질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를 제공한다. 상기 양극 활물질은 리튬-전이금속 산화물 입자와 상기 리튬-전이금속 산화물 입자의 표면 상에 위치하는 탄산리튬을 구비한다. 상기 리튬-전이금속 산화물은 Li1+x(Ni1-y-zCoyMnzMea)1-xO2(-0.2≤x≤0.2, 0.01≤y≤0.5, 0.01≤z≤0.5, 0 | |
|
|
상세기술정보 | |
기술명 | 기술요약 |
마그네슘염 수용액으로 세척한 리튬-전이금속산화물 | 리튬 전이금속산화물 입자를 마그네슘염 (ex. Mg(NO3)2·6H2O) 이 용해된 수용액과 반응시켜, 리튬 전이금속산화물 입자 표면 상에 탄산마그네슘을 형성하여, 상기 활물질 표면 잔류물들을 제거함으로써, 이차전지의 전기화학적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 |
Mg 수용액으로표면처리된 리튬-전이금속산화물 | ▷리튬이차전지의 양극재료에 관한 것으로, 리튬-전이금속산화물의 표면을 Mg 수용액으로 처리하여 표면 상의 잔류리튬화합물을 저감시키는 기술을 제공함 |
기술분야 | 적용분야 |
재료·화학 | 리튬 이차전지의 양극활물질 |